남,녀별 편재 쓰임과 편재 운 편재에 대한 마지막 글이네요. 정재와 편재에 대해서 계속 정리하고 분류하고 있습니다. 잠깐 틈을 내서 재성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를 해보자 합니다. 남녀별 편재운의 신수를 알아보시려면 글을 조금만 내리시면 됩니다. 재성은 활동 무대를 뜻합니다. 평범한 직장인은 회사이며, 배우는 극장 무대, 농부는 논밭입니다. 즉, 재성이란 내가 일해서 돈을 버는 공간이 됩니다. 재성이 없는 무재(無財) 사주나 재성공망(空亡)은 이 활동무대가 없습니다. 그래서 해외에서, 인터넷으로, 야간 시간에, 프리랜서로서 돈을 벌기도 합니다. 활동무대를 손에 쥐고 있는 사람은 주체적으로 돈을 법니다. 사업을 하든, 투자를 하든 문제가 안됩니다. 반면에, 내 사주에 재성을 남이 꽉 틀어쥐고 있는 사주가 있습..
편재의 재생살, 재극인 정리하기 이전 글에서 편재를 찾아보고 특성을 정리해봤습니다. 이번에는 편재가 관성을 보았을 때와 인성을 보았을 때 어떤 작용을 하는지 써보고자 합니다. 그전에 편재는 왜 욕심이 많으면서도 잘 베푸는 이중성이 상존할까요? 관찰력 좋으신 분은 이거 모순이 아닐까 생각해봄직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① 욕심이 많은 이유 정재(正財)는 작지만 꾸준히 들어오는 돈입니다. 반면에 편재(偏財)는 벌 때 크게 벌고, 없으면 쫄쫄 굶어야 합니다. 편재는 삶에 안정성이 결여되었죠. 그래서 돈 벌 기회가 생기면 악착 같이 벌어들입니다. 그래야 굶을 때를 대비하기 때문입니다. ② 잘 베푸는 이유 정재(正財)의 그릇은 작은 샘물과 같습니다. 샘물에서 쏟아나는 작은 물을 모..
사주 편재(偏財) 정리 편재는 '치우칠 편(偏)'이 들어가는 십성입니다. 어딘가 치우쳐져 있으니 투기도 하고, 편법도 쓰며, 애인도 두면서 살아갑니다. 그럼에도 편인(偏印), 편관(偏官)과 달리 흉악한 글자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돈이라는 것은 정말 귀하군요. · 정재 : 안정 / 월급 / 장사 / 투자를 한다 / 작은 돈이 모여 큰돈이 된다. · 편재 : 모험 / 인센티브 / 사업 / 투기를 한다 / 한 건 크게 해서 큰돈 번다. 지난 글에서 정재에 대해 정리 해봤습니다. 이제 정재와 편재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감이 오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편재를 찾아보고, 주요 특징을 써보고자 합니다. 목 차 1. 내 사주 편재 찾기 2. 편재 특징 2-1. 영역확보와 유흥성 2-2. 기복이 심한 팔자 2-3. 다정(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