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계수(癸水), 키워드로 정리하기 계수(癸水)는 십천간의 마지막으로 원만하고 두루 잘 어울리는 성정을 지닌다. 계수(癸水)는 하늘에서는 비와 이슬이고, 땅에서는 만물의 생기를 돋우는 샘물입니다. 임수의 강물, 바닷물은 정수를 하지 않고는 사람이 음용하면 안 됩니다. 반면,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은 한데 모아 마셔도 됩니다. 계수는 임수보다 맑은 물입니다. 어느덧 십천간의 마지막입니다. 더운 여름에는 시원한 소낙비가 되어주고, 이른 봄에는 산뜻한 봄비가 되어주는 계수. 운치 있는 계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계수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겨울(冬) 음 양 : 음(陰) 오 행 : 수(水)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무계합(戊+癸) 계수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임수(壬水), 키워드로 정리하기 임수(壬水)는 연륜이 있어 차분하고 지혜롭다. 임수(壬水)는 姙(아이 밸 임)이란 글자에서 따왔습니다. 임수는 글자 그대로 어머니의 젖줄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기운입니다. 계절은 임수와 계수(癸水)에 이르러 겨울에 닿습니다. 사람으로 빗대자면 늙은 노인이 된 것입니다. '늙어가는 시간은 모든 것을 가르친다.'는 말처럼 연륜 덕분에 지혜가 생긴 시기입니다. 임수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겨울(冬) 음 양 : 음(陰) 오 행 : 수(水)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정임합(丁+壬) 임수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임수(壬水), 장점과 건강, 직업 정리 임수(壬水)의 장점은 원만한 성격과 수완 있는 일처리 능력이 있..
사주 신금(辛金), 키워드로 정리하기 신금(辛金)은 과거와 분리하고 단절하는 아픔을 겪는다. 고체의 결정체는 신금(辛金)에 이르러 완숙한 열매(庚)는 땅으로 떨어집니다. 이때, 신금은 나무에서 열매를 끊어내는 분리와 단절의 아픔을 겪습니다. 신금은 십천간에서 여덟 번째 글자입니다. 신금은 우리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고체의 결정체(結晶體)입니다. 신금을 지나 임·계수(壬·癸水)가 되면, 형상이 물과 같아 그릇에 담지 않으면 흘러 흘러 사라집니다. 신금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가을(秋) 음 양 : 음(陰) 오 행 : 금(金)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병신합(丙+辛) 신금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신금(辛金), 장점과 건강, 직업 정리 신금(辛金)..
사주 경금(庚金), 키워드로 정리하기 경금(庚金)은 열매로 많은 것이 응축되어 있다. 경금(庚金)은 양기를 거두어 음의 운동을 시작하는 천간입니다. 봄기운과 함께 달려온 갑목(甲木)은 기토에서 멈추었고, 을목(乙木)은 경금에서 합하여 열매로 결실을 맺습니다. 가을은 결실의 계절입니다. 십천간을 인간의 삶으로 빗대었을 때, 어린 갑목은 부모 몰래 집을 뛰쳐나옵니다. 병화가 되어 머리가 컸다고 세상을 사방팔방 헤집어 놓지요. 그리고 무토로 멈칫 정리를 시작합니다. 마침내 봄·여름 가꾸어 재배한 결실을 수확하는 것이 경금입니다. 경금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가을(秋) 음 양 : 음(陰) 오 행 : 금(金)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을경합(乙+庚) 경금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
사주 기토(己土), 키워드로 정리하기 기토(己土)는 전답, 정원, 평야 등으로 묘사된다. 기토 일간은 속을 알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기토(己土)는 무토의 양기를 거두어 음의 세계로 발돋움하게 도와줍니다. 축축한 흙이니 생명을 기르고 키우기에도 적당합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기토를 전답, 정원, 평야 등으로 묘사했습니다. 무토가 양기를 거둬 더는 발산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리고 음기를 키워 나갑니다. 기토는 음양의 기운이 모두 있는 데다가 조금 더 축축하여 변화가 쉽습니다. 그래서 무토보다 더 속을 알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기토 일간을 보면 무슨 생각을 하는 건가 싶을 때도 있지요. 기토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음(陰) 오 행 : 토(土)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갑기합(..
사주 무토(戊土), 키워드로 정리하기 무토(戊土)는 음양의 조절자이자 오행의 중심이다. 그래서 무토는 중용을 의미한다. 무토(戊土)는 비대해진 양기(陽氣)를 조절하여 더는 달아오르지 못하게 합니다. 그리고 다음 계절을 준비할 수 있게 차츰 양기를 가다듬는 조절자입니다. 지지의 토(土)와 천간의 토(土)는 조금 다릅니다. 지지 진·술·축·미는 각 계절 끝에서 계절을 갈무리하고 다음 계절로 넘어가도록 돕습니다. 천간에 무·기토는 만연한 양기를 가다듬고 음기의 발판을 만듭니다. 그래서 토(土)를 오행의 중심으로 치고, 중용의 글자라고 합니다. 무토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양(陽) 오 행 : 토(土)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무계합(戊+癸) 무토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
사주 정화(丁火), 키워드로 정리하기 정화(丁火)는 인위적인 촛불과 같다. 열기는 병화보다 강하니 한번 정(情)을 주면 뜨겁게 오래간다. 정화(丁火)는 깜깜한 어둠을 물리치는 촛불과 같습니다. 병화처럼 모든 세상을 내리쬐지 못하나, 내가 필요한 공간을 밝혀주니 귀한 글자입니다. 병화가 먼저 세상을 밝혀 아침을 알립니다. 정화는 그 이후 열(熱)을 전달하여 사람들에게 따스한 낮임을 몸소 느끼게 만들어 줍니다. 병화보다 늦게 달아오르지만 여운이 오래가는 정화는 잔정이 많습니다. "다정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는 시조는 정화를 위한 말인 것 같습니다. 정화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여름(夏) 음 양 : 양(陽) 오 행 : 화(火)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정임합(丁+..
사주 병화(丙火), 키워드로 정리하기 병화(丙火)는 밝고 명랑하고 공명정대한 성격을 지닌다. 만민에 대한 봉사심과 희생심이 있다. 병화(丙火)는 십천간의 세 번째 글자로 태양과 같은 형상입니다. 병화는 태양을 닮아 성격이 밝고 명랑하며 자신의 빛을 세상 모든 만물에 공명정대하게 비추고자 합니다. 십천간 글자 중 가장 밝으며 양기(陽氣)가 충만합니다. 이 시기에는 세상에 숨겨진 각종 어두운 면이 드러납니다. 온갖 나쁜 악행은 대중에 낱낱이 드러나고 완전히 근절됩니다. 병화는 봉사심과 희생정신을 지니고 있습니다. 병화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여름(夏) 음 양 : 양(陽) 오 행 : 화(火)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병신합(丙+辛) 병화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
사주 을목(乙木), 키워드로 정리하기 을목(乙木)은 십천간의 둘째로 융통성이 있어 처세가로서의 재능이 있다. 을목(乙木)은 십천간의 두 번째 글자로 나무를 따라 올라가는 넝쿨과 같은 모양새입니다. 첫째가 나와서 닦아놓은 길을 잽싸게 올라가는 둘째의 모습이죠. 목은 처세가 기질이 있습니다. 첫째 형 갑목처럼 을목도 신금(辛金)의 씨앗을 뚫고 나온 봄기운입니다. 기존 질서의 희생이 암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위로 올라갈 줄만 아는 갑목과 달리 을목은 융통성이 있습니다. 이익이 되면 상하좌우 어디든 뻗쳐갑니다. 환경에 적응하는 을목은 유연한 도시인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을목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봄(春) 음 양 : 양(陽) 오 행 : 목(木)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을경합..
사주 갑목(甲木), 키워드로 정리하기 갑목(甲木)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개척자이나, 기존 질서의 희생을 전제로 한다. 갑목(甲木)은 십천간의 첫 번째 맏형으로 위에 사진처럼 솟구쳐 오르는 나무와 같습니다. 다른 글자들 보다 가장 먼저 앞서 나가는 개척자이기도 합니다. 추운 겨울날 인고의 시간을 견뎌 씨앗에서 톡 하고 튀어나온 게 바로 甲입니다. 씨앗이 자신을 감싸주던 껍질을 뚫고 나오듯 새로움을 추구하며 기존의 질서에서 뛰쳐나오는 것이죠. 그래서 갑목은 기존 질서의 희생을 전제로 합니다. 갑목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봄(春) 음 양 : 양(陽) 오 행 : 목(木)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갑기합(甲+己) 갑목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갑목(甲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