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꿈, 돈 줍는 꿈 46가지 정리 돈은 '다다익선(多多益善)'입니다. 현실뿐만 아니라 꿈에서도 동일합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요. '돈'은 우리말이 국문으로 기록될 때부터 쓰였던 단어이다. '돈'은 ‘돈다’는 동사에서 유래하였다. 한 곳에만 머물지 않으며 여기저기 돌아다닌다는 뜻이다. 한자로 돈은 전(錢)이라고 한다. 돈 꿈은 재물이나 가치, 성과, 일거리, 편지, 문서 등을 상징합니다. 꿈에서도 돈을 적게 가지만 불안, 근심, 걱정거리가 생깁니다. 반대로 많은 돈을 쥐고 있으면 일이 순탄하고 그 액수만큼의 재물이 생기기도 합니다. 돈 꿈을 풀이할 때는 개수도 중요합니다. 가령, 길에서 백 원을 주으면 1개월, 오백 원은 5개월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마찬가지로 지폐가 몇 장인지에 따라 몇 개월, 몇 ..
거북이 꿈, 거북이 잡는 꿈 22가지 정리 거북이는 오래 산다는 뜻에서 상상 속 용이나 봉황 같이 상서로운 동물로서 여겨졌습니다. 또한 삼국유사에는 가야국의 시조 수로왕(首露王)을 내놓는 동물이기도 합니다. 우리 민족은 거북을 주술의 매체로 간주하기도 했었죠. 옛날 중국 하(夏)나라에서 우(禹) 임금이 한참 치수를 할 때 일이다. 한 날은 낙수(洛水)에서 거북이를 발견했는데, 거북이 등에는 마흔다섯 점의 글씨가 쓰여 있었다. 이것을 ‘낙서(洛書)’라고 부르는 바 ‘하도(河圖)’와 함께 『주역』의 바탕이 되었다. - 상서정의(尙書正義) 12권 - 거북이 꿈은 재물을 얻고 높은 관직에 오르게 됨을 뜻합니다. 곧, 부자가 되고 명예를 얻는 행운이 따르는 꿈인 것이죠. 그리고 나를 인도하는 조력자를 나타내며, ..
사주 정인(正印) 정리 정인(正印)은 육친으로 어머니입니다. 일간이 무엇이든 정인으로부터 태어났으니까요. 친모에게서 태어난 정인은 집안의 적통 계승자입니다. 그래서 집안에 어른이든 가솔이든, 손님이든지 간에 정인이 있는 적통을 좋아해 줍니다. 정인이 돕는 사람은 사랑을 받고 자랐으니 첫인상이 나쁘지 않습니다. 일간을 생하는 것은 어머니 외에 스승, 상사, 선배 등도 됩니다. 그들이 걸어갔던 길과 조직(官)을 그대로 따라 가기만 한다면 정인의 삶은 보장이 됩니다. 정인은 관(官)에서 일하면 도움받고 진급이 됩니다. 이를 '관인상생(官印相生)'이라 합니다. 직장만 잘 들어가면 만사형통인 셈입니다. 재성과 상극인 정인은 문서나 책, 자격증으로 비유됩니다. 월지에 정인이 있는 정인격(正印格)은 장사보다는 공부 ..
개미 꿈, 개미 나오는 꿈 15가지 예나 지금이나 개미는 작지만 부지런한 동물로 인식됩니다. 옛 속담에도 개미의 노력을 강조하는 말들이 있습니다. 근면하게 저축하는 사람을 '개미 금탑 모으듯 한다.'고 비유하는 속담도 있죠. 보잘것 없던 사람이 큰일을 해낼 때는 '개미가 절구통을 물고 나간다'고 합니다. 개미는 한자어로 '의(蟻)'입니다. 벌레 충(蟲)과 옳을 의(義)자를 합친 것으로, "의로운 벌레"라는 뜻이죠. 우리말에서 개미는 "가야미"(월인천강지곡, 세종 29년) 혹은 "개야미"(석보상절, 세종 28년)로 불렸습니다. 개미 꿈은 근심과 걱정을 불러일으키는 버거운 일과 건강의 악화를 의미합니다. 또는 노력에 비해 성과가 부족한 일, 재물의 손실 등을 의미합니다. 또는 챙겨야할 가족을 뜻하기도 합니다..
남, 녀가 편관을 보았을 때, 편관 운 보기 관(官)이란 보이지 않는 사회 규범입니다. 정관이라면 나무로 둘러싸인 울타리이며, 편관이라면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울타리입니다. 관성이 있다면 은연중에 남의 간판을 평가합니다. 관(官)을 쓰는 사람은 대화 좀 나눠보면 주로 말이 어느 직장 다니세요? 무슨 일 하세요? 입니다. 그럼 재성은 무엇을 먼저 볼까요. 상대가 착용한 신발, 팔찌, 핸드백 등을 살펴보고 저 사람이 돈이 있는지 없을지 가늠할 질문을 던집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사주에 관성(官星)은 우리가 직장생활에 몸을 담도록 하는 성분입니다. 자발적으로 어떤 단체, 조직에 복종하고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덕분에 큰 조직의 녹봉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살아갑니다. 만약에 "나는 개인 사업자인데 관(官)이..
화산 꿈, 용암 꿈 10가지 정리 화산 폭발은 매우 무시무시한 재해입니다.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폭발로 로마의 도시 폼페이는 하루 아침에 잿더미에 덮여 사라지기도 했었죠.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화산 폭발이 있었단 사실을 아시는지요? 고려 정종 원년(946년), 이 해 천고(天鼓)가 울리므로 사면령을 내렸다. - 고려사(高麗史) - 천경 9년(946년), 11월 3일 ‘천경의 밤에 하얀 화산재가 눈과 같이 내렸다. - 일본 역사서, 흥복사연대기(興福寺年代記)- 946년은 백두산 화산이 폭발했던 시기입니다. 당시 고려의 수도 개성과 백두산은 약 470km 정도 떨어져 있었으니, 그 위력이 얼마나 컸었을지 짐작이 가시는지요? 지금 서울-부산 간 도로 거리가 389km이니, 대단한 화산 폭발이었습니다. 화산..
식신제살과 살인소통 정리하기 편관에 대해서 정리하고 있는데요, 저는 글을 쓰면서 나의 일간별 십성(十星)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특징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주팔자(四柱八字)는 여덟 글자가 있기 때문에 통변에 있어서는 각 십성별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글마다 항상 A라는 십성이 B라는 십성을 만나면 어떤지 정리하고 있습니다. 요지는 명리 용어를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거 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복잡한게 아니라서 알고 있으시면, 제 블로그가 아닌 다른 블로그에서도 사주 관련 글을 읽기에 편하실 겁니다. ^_^ ① 편관(偏官)이 식상(食傷)을 보았을 때 · 식신제살 : 식신이 편관을 제압(剋)하는 경우 · 상관대살 : 상관이 편관을 제압(剋)하는 경우 · 상관합살 : 상관이 편관을 합..
지진 꿈, 지진 나는 꿈 18가지 정리 지진은 항상 예측 없이 찾아오는 재앙입니다. 요 근래에는 경주, 포항, 나주 등에서 지진이 발생해 사람들을 두려움에 빠뜨리게 했습니다. 사실 찾아보면 지진은 우리 민족에게 잊힐만하면 발생하는 자연재해였습니다. 지진(地震)은 천재지변(天災地變) 중의 큰 것이다. 우리 나라에는 지진이 없는 해가 없고, 경상도에 더욱 많다. - 세종실록 56권, 세종 14년 5월 지진 꿈은 부정적인 꿈으로 여겨집니다. 지진이 났을 적에 어떤 장소에서 머물고 있었는지, 지진의 여파가 얼마나 컸는지, 본인이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에 따라 길흉과 그 범주가 달라집니다. 지진 꿈, 지진 나는 좋은 꿈 6가지 · 방송 매체를 통해 지진 속보를 보는 꿈 합격, 취업, 진급, 당첨, 계약 성공 등 일..
사주 편관(偏官) 정리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편관(偏官)"에 대한 글입니다. "남자복이 박복하다. 직장 생활이 두렵고 힘들다. 남들 눈치 보느라 주체적인 삶이 없다." 이 모든 게 편관의 부작용에서 비롯됩니다. 오늘날 개인의 취향과 선택을 중시하는 개방된 사회라 할지라도 남자, 직장, 체면은 개인과 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결책을 찾든, 당하고 살든 해야 합니다. 사주 명리에서 말하는 해결책은 ①식신제살 ②살인상생 ③양인합살이 있습니다. 구체적인건 글 쓰면서 알아보죠. · 정관 : 스스로 지키는 것, 문관·행정직렬, 고지식, 자율적 · 편관 : 스스로 견디는 것, 무관·특수직렬, 편법, 타율적 정관(正官)이 이성적이고 본인을 이롭게 하는 십성이라면, 편관(偏官)은 감정적이고 극복해야 할 재앙입니다. ..
` 남, 녀가 정관을 보았을 때, 정관 운 보기 그분은 그냥 백두(白頭)고, 그 할아버님이 참판(參判)을 지냈소. - 송기숙 '녹두 장군' - 국어사전에 '백두(白頭)'라는 말이 있습니다. 탕건(宕巾)을 쓰지 못했단 말로, 지체 높으나 벼슬(官)을 못한 사람을 비유하던 말입니다. 오늘날 '백수(白手)'와 비슷한 의미로, 옛 선인들은 관직에 출사하지 못한 자를 백수건달로 보았음을 알 수 있죠. 그래서 정관(正官)은 존귀한 성분입니다. '벼슬 관(官)'이란 글자 뜻처럼 벼슬을 하고 관직에 오를 수 있는 자격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관(官)이 있기에 집안에 명예를 드높이며, 가정의 생계를 책임질 수 있었습니다. 삶의 모양새가 다양해진 오늘날도 관(官)은 모두가 갈망하는 대상입니다. 그럼 정관(正官)의 남,녀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