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신살을 보는 이유 십이신살(十二神殺)은 사주를 보는 데 있어 양념과 후추 같은 역할을 합니다. 아무리 음식이 좋아도 뭔가 뒤끝이 밋밋하거나 2%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을 때 쓰이는 것이 '십이신살'이죠. 예를 들어, 경자년(庚子年)에 자(子)가 본인에게 식신이 된다고 생각해봅시다. 식신이라는 건 의식주의 확장과 활동 범주의 확대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경자년에는 새로운 일거리, 취미, 기술 등을 찾고 시도합니다. 그간 몸이 아팠던 환자는 건강이 회복되는 시기입니다. 그런데 술사가 내담자에게 막연하게 '올해 건강도 좋아지고, 일도 하겠고, 뭐 좋아' 이런 식으로 답변한다면, 내담자는 "예"라고 답해도 뭔가 부족함을 느낍니다. 이때 얼마나, 어떻게 좋아지는지 상세한 양상을 보기 위해 신살(神殺)을 사..
박원순 서울시장 사주풀이 저는 요즘 박원순 서울시장을 네이버, 다음 등 주요 사이트 메인 뉴스란에서 자주 뵙습니다. 부동산 집값 상승으로 인한 그린벨트 해제에 대한 반대의견이나 서울을 전기차, 수소차 같은 친환경차가 다니도록 규제하겠다는 말씀을 주로 하셨죠. 소싯적부터 공부에 소질이 있어 남들보다 두각을 드러냈던 분이죠. 서울대학교 사회계열로 입학한 우수한 인재였으나, 1학년 당시 유신 반대 시위에 가담했다는 사유만으로 감옥에 수감되었습니다. 이 일로 서울대에서 제적 처분을 당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단국대에 입학해 젊은 나이에 사법고시에 합격했습니다. 그 해 연수원에는 뛰어난 동기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전태일 평전을 집필하고 일생을 인권 증진을 위해 바쳤던 조영래 변호사, 부산에서 인권변호를 하면서 마..
잉어 꿈, 잉어 태몽, 잉어 잡는 꿈 24가지 정리 잉어는 인류가 양식한 물고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물고기라고 합니다. 기원전 500년경 쓰여진 중국의 책, '양어경(養漁經)'에서는 잉어를 사육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해 두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일찍이 잉어를 자양식품이나 약으로 사용했습니다. 실제로 잉어는 아미노산,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성인병을 유발요인이 없는 건강 식품입니다. 게다가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 많은 그림이나 기록에도 잉어는 은혜를 갚고 출세를 시켜주는 동물로 표현됩니다. 봄이 되면 중국의 잉어들은 황하 상류를 거슬러 오른다. 마침내 용문이란 가파른 협곡에 가로막혀 더는 오르지 못한다. 이때 거센 꼬리 짓으로 용문을 뚫고 지나가는 잉어는 용이 된다. 이를 중국의 고사로 ‘..
토 하는 꿈, 구토하는 꿈 22가지 정리 구토를 하는 행위는 어떤 음식을 잘 못 먹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몸에서 받아주지 않는 음식을 먹어서 며칠을 끙끙 앓는 것보다 오히려 한번 크게 게워내는 게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이처럼 환자가 토하는 꿈을 꾸었다면 앓고 있던 질병이 치유되는 좋은 꿈이 됩니다. 그러나 일반인이나 공직자, 로비스트 등이 이 꿈을 꾸었다면 다르게 해석합니다. 멀쩡한데 토를 한다는 것은 정상이 아닌 이상한 행위입니다. 그래서 소유하던 이권과 권리, 명예와 신분, 재산과 뇌물 등을 도로 반납하게 됩니다. 부적절한 수단으로 착복한 돈, 물건이 아니라도 반납하게 됩니다. 토하다와 유사한 단어인 '게워내다' '뱉어내다' 등은 국어사전에서 부당하게 차지했던 재물을 내어놓는다는 의미를 ..
초보일수록 쉬운 당사주 보는 법 당사주 보는 법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목 차 1. 당사주의 정의과 연혁 2. 내 팔자를 당사주로 찾는 방법 3. 당사주의 기초 개념 4. 당사주의 십이성론 5. 당사주 실제 풀어보기 당사주의 개념과 연혁 ① 당사주란? 당사주는 사람의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하늘의 12운성의 운행에 따라 길흉화복을 점치던 사주학입니다. 민간에서 널리 사용된 만큼 사주를 풀이하는데 간편하고 익히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배우는데 10분도 안 걸릴 정도로 매우 실전에 강한 점학입니다. 왼손을 쫙 펴서 숫자를 헤아려가며 보면 되니까요. ② 당사주의 연혁 당사주의 연혁은 중국 당나라 때 이허중(李虛中)이라는 도사로부터 시작됩니다. 태양계..
사주 편인(偏印) 정리하기 인성(印星)은 식상(食傷)을 제어하는 십성입니다. 식상(食傷)이란 대외적으로 드러내는 본인의 행동입니다. 식상이 두드러진 사람은 어떤 행위를 하던 사람들이 알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쟤는 저런 행동을 하는구나"하고 알아차리는 것이죠. 반대로 인성(印星)은 남들이 뭘 하는지 모릅니다. 인성을 쓰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 사람은 제 딴에는 열심히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남들은 "저 양반은 아무것도 안 하네"라고 생각을 합니다. 즉, 인성의 행위는 대외적으로 표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성은 문서, 학위, 자격, 이권 등을 주로 다룹니다. 부동산 임대료나 계약 수수료, 면허증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입니다. 능동적인 식상(食傷)을 쓰지 않고 살아가기에 수동적인 모양새를 띱니다..
바퀴벌레 꿈, 바퀴벌레 죽이는 꿈 17가지 정리 바퀴벌레의 족보는 인류가 세상에 나타나기 이전까지 올라갑니다. 무려 고생대(3억 6,00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하니 아주 까마득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벌레에 관한 설화는 기록된 게 없으나, 조선말 이규경(李圭景)이 저술한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바퀴벌레에 관한 기록이 있습니다. 비렴은 속명이 유충(油蟲)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박회라고 부르고 강괴라고 하기도 한다. 볶아서 먹는 사람도 있다 한다. - 이규경, '박회'는 수레에 달려있는 '바퀴'의 옛 말입니다. 벌레가 둥글둥글한 게 마치 바퀴 같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병원균이 득실한 바퀴벌레를 먹는 사람은 없으나, 해외에서는 구워서 먹는 지역도 있다 합니다. ..
남, 녀의 정인 운과 정인 대운 알아보기 정인(正印)은 총명하고 학구적인 십성입니다. 성품도 온후하며 여유가 있어 고고한 선비 같은 기개가 있습니다. 게다가 뭘 해도 윗사람의 인정을 받기에 유리합니다. 위에서 끌어주는 게 있으니 인성운에는 표창을 수여받거나 영전하는 등 좋은 일이 따릅니다. 그러나 인성은 남에게 받는 것에 익숙해 이기적으로 비칩니다. 이쁨 받는 것에 익숙해 남을 생각 안 하고 고집스러우며 융통성이 없어 보이기도 하죠. 마치 버릇없는 어린아이처럼요. 이를 비유해서 모자멸자(母子滅子)라 합니다. 부모와 윗사람의 사랑이 지나친 나머지 아이를 망치는 형세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주체적으로 일처리를 못합니다. 항상 주위에 도움에 기대고 큰일에는 드러눕는 나약한 사람이 됩니다...
재격패인과 관인소통 정리하기 정인격은 얼굴·관상에 밉지 않은 귀염성이 있습니다. 이는 확실한 '뒷배경'이 있기에 얼굴에서 드러나는 여유인 겁니다. 정인의 뒷배경이란 바로 '어머니'와 '조력자'이겠죠? 그래서 정인이 강한 사람은 힘든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되겠지'하고 있습니다. 압류가 들어와도 낭창하게 있으니 옆에서 보면 답답하겠죠. 정인은 힘들면 어머니 또는 기댈 수 있는 사람을 찾아 인정(人情)으로 호소합니다. 정인은 나에게 관대한 사람입니다. 하지만, 남의 잘못은 또 귀신같이 잘 분간해냅니다. 정인은 타인의 문제점을 발견하고선 학당 훈장님처럼 교육시키고 훈계하려 듭니다. 특히 예의가 없어 보이는 '무관성(無官星)'과 생각 없어 보이는 '무인성(無印星)'에게 야박합니다. ※ 반대로 편인은 자신의 잘못을..
한신 사주_공훈을 세우고 왜 버림받았는가? 대장군 한신(韓信)은 통일제국 진(秦)부터 전한(前韓) 초기를 살았던 인물입니다. 신분제가 공고하던 사회에서 핏줄도, 재력도 없이 맨주먹으로 대장군까지 되었던 인물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강소성 패현 출신 건달에게 천하통일의 과업을 달성하는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유방에게 토사구팽(兎死狗烹) 당하여 삼족이 멸(滅)한 인물입니다. 왜 그렇게 되었는지, 망하는 팔자였는지 고서에 기록된 명조를 보고 버림 받은 이유를 3가지로 정리했습니다. 목 차 1. 식신제살이란? 2. 한신 사주 분석 3. 토사구팽 _ 한신이 실패한 이유 식신제살이란? 식신제살이란 문제 되는 제도, 관습, 규칙 등을 고쳐서 잘 쓰게 만들려는 기질입니다. 성격은 대체로 카리스마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