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토(辰土), 신자진 수국의 고지 진(辰)은 십이지지의 다섯 번째 글자입니다. 신자진(申子辰) 수국의 고지이며, 절기로는 하늘이 맑아지는 청명(淸明)과 봄비가 내리고 곡식이 풍성해지는 곡우(穀雨)입니다. 과거 농사는 곡우 무렵에 논에 심을 볍씨를 담갔습니다. 이때 비가 오면 못자리하기 좋으니, "곡우에 비가 들면 풍년이 온다."라고 하였습니다. 진토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양(陽) 계 절 : 봄(春) 육충·육합 : 戌 / 酉 원진·귀문 : 亥 삼 합 : 申子辰 방 합 : 寅卯辰 진토에 대해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탐구해보겠습니다. 진토(辰土), 물상에 따른 특징 문무왕은 늘 지의법사에게 "나는 세간의 영화를 싫어한 지 오래요. 죽은 후에는 나라를 지키는 호국대룡이 되어 불법을 받..
묘목(卯木), 해묘미 목국의 왕지 묘(卯)는 십이지지의 네 번째 글자입니다. 해묘미(亥卯未) 목국의 왕지이며, 절기로는 동면하던 개구리가 땅 위로 나온다는 경칩(驚蟄)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春分)입니다. 경칩은 오늘날 발렌타인데이처럼 연인들이 은행을 나눠 먹으며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는 조선시대의 기념일이기도 하였습니다. 묘목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음(陰) 계 절 : 봄(春) 육충·육합 : 酉 / 戌 원진·귀문 : 申 삼 합 : 亥卯未 방 합 : 寅卯辰 묘목에 대해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탐구해보겠습니다. 묘목(卯木), 물상에 따른 특징 "자라의 감언이설에 속은 토끼는 용궁에 도착하자 포박당한다. 용왕이 말하길, '너는 날 위해 죽어줘야겠다.'" 토끼는 황망하여 대답을 ..
인목(寅木), 인오술 목국의 생지 인(寅)은 십이지지의 세 번째 글자입니다. 인오술(寅午戌) 화국의 생지이며, 절기로는 봄이 시작하는 입춘(立春)과 눈이 녹아 비가 된다는 우수(雨水)입니다. 옛날 조상들은 입춘이 되면 한 해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하면서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축원을 대문에 붙여놓았습니다. 인목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양(陽) 계 절 : 봄(春) 육충·육합 : 申 / 亥 원진·귀문 : 酉 / 未 삼 합 : 寅午戌 방 합 : 寅卯辰 인목에 대해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탐구해보겠습니다. 인목(寅木), 물상에 따른 특징 "깊은 산중에서 나무꾼은 호랑이와 맞닥뜨린다. 순간 나무꾼은 기지를 발휘해 호랑이에게 '형님'이라 부르며 넙죽 절을 한다." 나무꾼은 자신의 노모..
축토(丑土), 사유축 금국의 고지 축(丑)은 십이지지의 두 번째 글자입니다. 사유축(巳酉丑) 금국의 고지이며, 절기로는 대한 다음으로 추운 소한(小寒)과 겨우내 가장 추운 대한(大寒)입니다. 다만, 중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대한보다 소한이 더 춥습니다. 옛 선인들도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비유를 하였죠. 축토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음(陰) 계 절 : 겨울(冬) 육충·육합 : 未 / 子 원진·귀문 : 午 삼 합 : 巳酉丑 방 합 : 亥子丑 축토에 대해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탐구해보겠습니다. 축토(丑土), 물상에 따른 특징 "옛날 게으름뱅이가 부인에게 소를 구해오겠다 속인 돈으로, 노름을 하러 길을 떠났다." 길에서 노인이 만들던 소 탈을 쓰고는 정말 소가 ..
자수(子水), 신자진 수국의 왕지 자(子)는 십이지지의 첫 번째 글자입니다. 신자진(申子辰) 수국의 왕지이며, 절기로는 눈이 가장 많이 온다는 대설(大雪)과 밤이 가장 긴 동지(冬至)입니다. 옛날 조상들은 동지에 이르러, "일양(一陽)이 생한다"며 기뻐했다고 합니다. 자수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음(陰) 계 절 : 겨울(冬) 육충·육합 : 午 / 丑 원진·귀문 : 未 / 酉 삼 합 : 申子辰 방 합 : 亥子丑 자수에 대해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탐구해보겠습니다. 자수(子水), 물상에 따른 특징 "먼 옛날, 신(神)이 한 번은 세상 동물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달리기 시합을 열었다." 덩치가 작고 연약한 쥐는 꼴찌를 따놓은 당상이었다. 그러나 꾀많은 쥐는 대회 전날 소의 귀에 몰래 ..
사주 계수(癸水), 키워드로 정리하기 계수(癸水)는 십천간의 마지막으로 원만하고 두루 잘 어울리는 성정을 지닌다. 계수(癸水)는 하늘에서는 비와 이슬이고, 땅에서는 만물의 생기를 돋우는 샘물입니다. 임수의 강물, 바닷물은 정수를 하지 않고는 사람이 음용하면 안 됩니다. 반면,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은 한데 모아 마셔도 됩니다. 계수는 임수보다 맑은 물입니다. 어느덧 십천간의 마지막입니다. 더운 여름에는 시원한 소낙비가 되어주고, 이른 봄에는 산뜻한 봄비가 되어주는 계수. 운치 있는 계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계수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겨울(冬) 음 양 : 음(陰) 오 행 : 수(水)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무계합(戊+癸) 계수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임수(壬水), 키워드로 정리하기 임수(壬水)는 연륜이 있어 차분하고 지혜롭다. 임수(壬水)는 姙(아이 밸 임)이란 글자에서 따왔습니다. 임수는 글자 그대로 어머니의 젖줄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기운입니다. 계절은 임수와 계수(癸水)에 이르러 겨울에 닿습니다. 사람으로 빗대자면 늙은 노인이 된 것입니다. '늙어가는 시간은 모든 것을 가르친다.'는 말처럼 연륜 덕분에 지혜가 생긴 시기입니다. 임수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겨울(冬) 음 양 : 음(陰) 오 행 : 수(水)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정임합(丁+壬) 임수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임수(壬水), 장점과 건강, 직업 정리 임수(壬水)의 장점은 원만한 성격과 수완 있는 일처리 능력이 있..
사주 신금(辛金), 키워드로 정리하기 신금(辛金)은 과거와 분리하고 단절하는 아픔을 겪는다. 고체의 결정체는 신금(辛金)에 이르러 완숙한 열매(庚)는 땅으로 떨어집니다. 이때, 신금은 나무에서 열매를 끊어내는 분리와 단절의 아픔을 겪습니다. 신금은 십천간에서 여덟 번째 글자입니다. 신금은 우리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고체의 결정체(結晶體)입니다. 신금을 지나 임·계수(壬·癸水)가 되면, 형상이 물과 같아 그릇에 담지 않으면 흘러 흘러 사라집니다. 신금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가을(秋) 음 양 : 음(陰) 오 행 : 금(金)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병신합(丙+辛) 신금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주 신금(辛金), 장점과 건강, 직업 정리 신금(辛金)..
사주 경금(庚金), 키워드로 정리하기 경금(庚金)은 열매로 많은 것이 응축되어 있다. 경금(庚金)은 양기를 거두어 음의 운동을 시작하는 천간입니다. 봄기운과 함께 달려온 갑목(甲木)은 기토에서 멈추었고, 을목(乙木)은 경금에서 합하여 열매로 결실을 맺습니다. 가을은 결실의 계절입니다. 십천간을 인간의 삶으로 빗대었을 때, 어린 갑목은 부모 몰래 집을 뛰쳐나옵니다. 병화가 되어 머리가 컸다고 세상을 사방팔방 헤집어 놓지요. 그리고 무토로 멈칫 정리를 시작합니다. 마침내 봄·여름 가꾸어 재배한 결실을 수확하는 것이 경금입니다. 경금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 절 : 가을(秋) 음 양 : 음(陰) 오 행 : 금(金) 천 간 : 양간(陽干) 천간합 : 을경합(乙+庚) 경금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구분..
사주 기토(己土), 키워드로 정리하기 기토(己土)는 전답, 정원, 평야 등으로 묘사된다. 기토 일간은 속을 알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기토(己土)는 무토의 양기를 거두어 음의 세계로 발돋움하게 도와줍니다. 축축한 흙이니 생명을 기르고 키우기에도 적당합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기토를 전답, 정원, 평야 등으로 묘사했습니다. 무토가 양기를 거둬 더는 발산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리고 음기를 키워 나갑니다. 기토는 음양의 기운이 모두 있는 데다가 조금 더 축축하여 변화가 쉽습니다. 그래서 무토보다 더 속을 알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기토 일간을 보면 무슨 생각을 하는 건가 싶을 때도 있지요. 기토의 개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 양 : 음(陰) 오 행 : 토(土) 천 간 : 음간(陰干) 천간합 : 갑기합(..